##GET으로 수정을 했다고 가정하자. GET 특징을 그대로 적용해보면 GET은 캐시가 남는다. GET은 파라미터에 URL이 남는다. -- GET을 사용할 때 메시지가 남는다.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었는가? 민감한 정보를 담지 말라는 의미 : 즉 수정에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로 유추된다. 캐시가 남는 점(브라우저에 남는다).. 보안에 좋지 않다.추가 작성 예정
GET, POST :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언가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방식. GET은 URL에 값을 붙여서, POST는 body안에 숨겨서 값을 전송 GET은 URL이기에 길이제한이 있음, POST는 많은 양을 보내기 적합 GET : URL, POST : form을 이용해 submit GET : 조회, URL, 데이터 Header에 포함, 데이터 노출,전송길이 제한, 캐싱가능 POST :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 사용(등록), 데이터 Body, 데이터노출이 없어 기본 보안, 전송길이 제한 없음, 캐싱불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