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fearless-hardboard-bd6.notion.site/Document-26266e6d385d4ee19e024644ec4cb0be 코인사조 Document 프로젝트 주제 fearless-hardboard-bd6.notion.site [AWS Architecture] MSA 인사이트를 얻을 목적으로 시작한 사이드프로젝트 후기를 작성합니다. 주제는 코인 자산 관리 시스템(~ 다양한 거래소의 코인을 모아서 보여주는 앱)을 간단하게 만들어보기로 했고 프론트 1명, 백엔드 3명이서 작업을 진행했으며, 백엔드 영역에서 커뮤니티 도메인과 자산 도메인의 일부를 담당했습니다. 첫 3주 동안은 EDA(Event Driven Architecture), DDD(Domain Driven Developmen..
MSA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기 위해 MSA에 대한 개요와 리엑티브 프로그래밍을 학습했다. Async + Nonblocking, Publish, Subscribe, webflux 등 MVC가 아닌 생소한 백엔드 개발 영역 학습을 진행했다. 첫 주차, 과제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실습을 진행하며, reactor의 각 종 연산자, publisher, subscribe, schedule로 쓰레드 관리를 이해하고 실습해보았다. 완벽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실습은 아니어서, 아직 부족한게 많지만 조금씩 더 채워나가야 겠지.. :) /** * ["Blenders", "Old", "Johnnie"] 와 "[Pride", "Monk", "Walker”] 를 순서대로 하나의 스트림으로 처리되는 로직 검증 */ @Test pub..
AppConifg.java (순수자바로 설정 클래스) public class AppConfig { //memberService는 AppConfig를 통해 불러낸다. //생성자 주입 : 생성자를 통해서 객체를 주입.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{ return new Memb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()); }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(){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 }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(){ return new Ord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(), discountPolicy()); } ..
1. Async 켜기 자바) @configuration @EnableAsync xml) bean 등록 task:excutor 2. Async 어노테이션 달기 상세내용 springboot.tistory.com/38 스프링에서 @Async로 비동기처리하기 스프링에서 @Async로 비동기처리하기 @Async in Spring [원문: http://www.baeldung.com/spring-async] 1. 개요 Overview 이 글에서 스프링의 비동기 실행 지원asynchronous execution support과 @Async annotati.. springboot.tistory.com etc) Spring 비동기 응답 lts0606.tistory.com/7 Spring 비동기 응답(Spring async..
프록시 패턴을 활용한 AOP ( 백기선 inflearn 강의 참고 )
알고리즘을 단계별 메소드로 나눈다! ( Operation1(), Operation2(), Operation3() ); 알고리즘을 수행할 템플릿메소드를 만든다. 하위 클래스에서 메소드 구현 요구사항 1. 신작 게임의 접속 구현 - requestConnection(String str) : String 유저가 접속시 다음을 고려 보안: 보안 처리, 인증: id/pwd 확인, 권한: 유료회원인지 무료회원인지 확인, 접속: 접속자에게 커넥션정보 넘김 추상화 클래스 ( 알고리즘의 단계별 메소드, 정의된 메소드를 이용한 템플릿 메소드 작성 ); public abstract class AbstGameConnectHelper { protected abstract String doSecurity(String string)..
어떻게 공부하는게 효율적일지 많이 고민했다. 작년 8월 쯔음이었나 회사에서의 성장은 멈춘 것 처럼 느껴졌다. 책을 읽어보고, 스터디도 해봤지만 성장에 대한 욕구는 더 커졌다. 그렇게 고민하던 중 취준생 멘토링 플랫폼과 연락이 닿았다. 가끔씩 해당 플랫폼에서 개발자를 꿈꾸는 취준생 고민에 대한 답변을 달아주었는데.. 그게 시작이었나보다. 강의를 해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다. 누군가에게 강의를 하며 전달한다면, 좀 더 내게 성장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. 그리고 덜컥 강의를 하기로 했고, 강의 컨텐츠를 만들었다. 처음에는 어떤 컨텐츠를 만들지 막막했지만 강의를 하며 만들어갔다. 주제는 [시각화 파일럿 프로젝트!] 5주의 과정을 만들어 진행했다. 1. Spring 셋팅 2. FrontEnd 이해하기(d3.js..